기운 기 氣𣱛気𣱖气炁 qì

기운 기 qì 치
气 기운기엄/10획
= 气(기운기엄) + 米(쌀미)

= 𣱛 (气 기운기엄/8획, 기운 기): 氣의 고자(古字)
= 気 (气 기운기엄/6획, 기운 기): 氣의 약자(略字)
= 𣱖 (气 기운기엄/6획, 기운 기): 氣의 속자(俗字)
= 气 (기운기엄/4획, 부수자) = 氣(기운 기), (중) 氣의 간체자, 편방용 132
= 炁 (灬 연화발 = 火 불 화/ 8획, 기운 기, 보낼 희): 氣와 동자(同字)
𣱛
기운 기 qì 치
气 기운기엄/8획
氣의 고자(古字)
= 气(기운기엄) + 火(불 화)
기운 기 qì 치
气 기운기엄/6획
氣의 약자(略字)
= 气(기운기엄) + 㐅(= 五 다섯 오)
𣱖
기운 기 qì 치
气 기운기엄/6획
氣의 속자(俗字)
= 气(기운기엄) + 冫(얼음 빙 = 冰)
기운기엄/4획, 부수자
= 氣(기운 기)
(중) 氣의 간체자, 편방용 132
기운 기 qì 치
灬 연화발 = 火 불 화/ 8획
① 기운 기 = 氣와 동자(同字)
② 보낼 희
= 旡(목멜 기) + 灬(연화발 = 火 불 화)
氣(기)자는 무엇이 존재할 수 있게 하거나, 모양을 이룰 수 있게 하거나, 살아 있게 하거나,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어떤 힘을 뜻하는 것은 짐작이 되지만, 그 뜻을 알기가 매우 어려운 글자 가운데 하나입니다. 우리 겨레의 주식으로써 생명 보존의 바탕인 米(쌀 미)자가 들어 있는 점에 그 핵심이 있지 싶을 따름입니다. 氣는 서양에서 말하는 에너지(energy)라는 말과는 다름이 확실하다 싶습니다.